싱그릭스 (shingrix) 주는 대상포진 백신 중 하나입니다. 대상포진 백신은 기존에 조스타 백신이라는 사백신이 주로 이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 싱그릭스 주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싱그릭스 주의 가격과 다른 백신들과의 비교 및 정리를 해 보겠습니다.
싱그릭스 주란?
싱그릭스 주란 대상포진 백신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조스타 백신의 경우 대상포진 바이러스 VZV virus가 살아있는 상태로 약독화된 생백신입니다.
그러나 싱그릭스 주는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죽어있는 상태로 바이러스 표면에 존재하는 당 단백질 E를 타깃으로 하는 사백신입니다.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을 인식하는 항체를 우리 몸이 만들 수 있도록 레시피를 기억하게 하여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나타날 때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싱그릭스 제조사
싱그릭스는 GSK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이라는 회사에서 개발했으며 전문의약품 (처방의약품)을 주로 개발하는 영국의 제약회사입니다.
싱그릭스 접종 권고 대상
싱그릭스는 50세 이상의 성인 혹은 18세 이상의 면역의 질병 혹은 치료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진 또는 면역억제로 인하여 대상포진 위험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사람 (면역억제제 투여자)는 접종 권고 대상입니다.
싱그릭스 가격
싱그릭스는 1회 접종당 25만 원이며 면역 형성을 위해 2회 접종해야 합니다. 따라서 평균 50만 원선입니다. 병원마다 다르겠지만 2회 결제 시 40 ~ 45만 원으로 할인해 주는 곳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조스타 백신을 맞아야 하나 VS 싱그릭스를 맞아야 하나
대표적인 대상포진 백신 이 두 가지는 성격이 극명하게 다릅니다. 이 두 가지 중 어떤 백신을 맞는 것이 효율적 일지 알아보기 위해 가격과 효과, 이 두 가지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해 보았습니다.
조스타 백신 | 싱그릭스 주 | |
가격(1회 접종 비용) | 15만원 | 25만원 |
접종 횟수 | 1번 | 2번 |
50세 이상 접종시 항체 생성률 |
50 % | 97 % |
면역력 지속기간 | 5년지속 | 10년 지속 |
(1). 가격
조스타 백신과 싱그릭스 주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가격입니다. 조스타 백신은 1회 접종 시 15만 원입니다. 싱그릭스 주의 경우 1회 접종 시 25만 원입니다. 총비용을 계산해 보면 조스타백신은 면역형성을 위해 15만 원이 필요하며, 싱그릭스주는 면역 형성을 위해 50만 원이 필요로 합니다.
가격만 생각해 본다면 싱그릭스 주가 압도적으로 비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 우리는 효과적인 부분도 꼭 고려해보아야 합니다.!
(2). 효과
위에 표에서 보았듯이 조스타 백신은 1번 접종 시 형성된 면역력 지속기간이 5년입니다. 그러나 싱그릭스주의 경우 10년이 지속됩니다. 10년 지속 기간으로 보았을 때에 조스타 백신은 2번 접종을 해야 하므로 비용은 30만 원 정도로 측정이 됩니다.
그래도 금액은 아직까지는 조스타 백신이 훨씬 저렴하다고 느끼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백신을 맞는 이유는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형성하고 증상발현율을 낮추거나 증상 발현 시 통증의 강도를 줄이기 위함입니다.
조스타 백신의 경우 항체 생성률이 50% 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 말은 조스타 백신을 맞아도 대상포진에 걸릴 확률이 50%라는 이야기입니다.
이에 반해 싱그릭스 주의 경우 항체 생성률이 97%로 100%에 가까운 예방 수치를 보여주며, 50%와 97%는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치라고 생각합니다.
(3). 정리
같은 예방기간 10년을 기준으로 잡았을 때에 금액이 20만 원 정도 차이가 나지만 이는 1년에 2만 원 꼴입니다. 또한 조스타백신을 맞더라도 항체생성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가격차이는 의미가 없을 정도로 줄어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약사로서 그리고 소비자의 입장으로서 생각해 보고 따져보았을 때에 가격이 조금 비싸 보이더라도 (이마저도 1년에 2만 원 더 낸다고 생각했을 때) 50% 확률로 면역을 형성할 것이냐 97% 확률로 면역을 형성할 것이냐 고민해 본다면 저는 싱그릭스를 맞는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증상 발열? 열이 날때 쓰는 해열제를 알아보자 (0) | 2023.11.28 |
---|---|
당뇨 환자 운동과 단백질 섭취를 해야하는 이유 (0) | 2023.11.28 |
당뇨 식단관리 - 당뇨에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 (2) (1) | 2023.11.24 |
당뇨 식단관리 - 당뇨에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 (1) (0) | 2023.11.23 |
피로회복에 필요한 비타민B12에 대해 알아보자(동맥경화예방, 코발라민) (0) | 2023.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