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시스테인이란 무엇인가?
호모시스테인은 인체에서 발견되는 아미노산 중 하나로, 메티오닌의 대사 과정에서 생성됩니다. 정상적인 대사 과정을 통해 보통은 정상 수치를 유지하지만 특정 요인에 의해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혈관손상, 심혈관 질환, 혈전증, 동맥경화 등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관리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체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
(1) 혈관손상 위험증가
호모시스테인은 산화작용을 일으키며 산소 반응의 부산물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킵니다.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활성산소처럼 혈관 세포 손상과 염증을 유발합니다.
(2) 혈전 위험 증가
두 번째로 혈관 내피세포 기능들을 저하시켜 혈액의 응집이 쉽게 일어나게 되고, 혈소판 접착률을 증사시 켜 혈전 형성의 위험을 높입니다.
(3) 혈관벽 약화
호모시스테인은 혈관 벽에서 형성되는 콜라겐 구조를 파괴함으로써 혈관 벽이 약해지고 혈관 탄력을 감소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뇌졸중, 동맥 경화와 같은 심혈관 질환 위험이 있는 분들의 경우 이 호모시스테인 조절에 더욱 신경을 스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생성이 되는가?
호모시스테인은 핵산합성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의 대사 과정에서 형성이 됩니다.
(1) 메티오닌 대사 시작
메티오닌은 첫 번째로 아데노실화 반응을 거쳐 SAMe라는 물질로 변환이 됩니다. SAMe는 주요 메틸기 제공자로 작용합니다.
(2) SAMe에서 호모시스테인으로
SAMe는 메틸기를 제공한 후, SAH로 전환되며 이후에 호모시스테인으로 분해됩니다.
(3) 호모시스테인 분해반응
호모시스테인은 두 가지 경로로 분해됩니다.
첫 번째 경로는 메티오닌 재생경로입니다. 호모시스테인은 다시 메티오닌으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는 메틸렌테트라하이드로폴릭산(MTHF)이 메틸기를 제공하며, 비타민 b9, 과 비타민b12가 촉매역할을 합니다.
두 번째 경로는 시스테인 생성경로입니다. 호모시스테인은 시스테인이라는 다른 아미노산으로 분해됩니다. 이 경로에서 비타민b6가 촉매역할을 하며, 중요한 항산화 물질인 글루타티온을 생성하는데도 관여합니다.
위의 두 경로 중 첫 번째 경로가 호모시스테인 분해 반응에서 더 주된 경로입니다.
호모시스테인을 증가시키는 요인
(1) 유전적 요인
특정 유전자 변이는 호모시스테인 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호모시스테인 수준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2) 비타민 결핍
비타민b6, 비타민b9, 비타민b12 결핍은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높이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들 비타민은 호모시스테인을 낮추는 핵심 대사 경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신장 질환
신기능이 저하되면 호모시스테인을 제거하는 능력이 감소할 수 있어 혈액 내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4)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호르몬 수준이 낮아지면 호모시스테인 수준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은 인체 에너지 대사의 척도로서 기본 대사 속도에 영향을 줍니다. 갑상선 저하증은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여 대사속도가 느려지며 이로 인해 메티오닌의 대사도 느려지게 됩니다.
(5) 고지혈증과 비만
고지혈증(혈중 지질 수치 증가)과 비만도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요인입니다.
어떻게 하면 줄일 수 있을까?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앞서 말씀드린 요인들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비타민b6, b9, b12가 함유된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호모시스테인은 주로 메티오닌 재생경로를 통해 분해되기 때문에 메티오닌 재생경로에 필요한 비타민인 비타민b12 (코발라민)을 잘 섭취해 주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비타민b12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심혈관 질환으로 걱정되시는 분들이시라면 비타민b12 중 활성형으로 들어있는 제품을 구매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비타민B12에 대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3.04.03 - [건강] - 피로해소에 필요한 비타민B12에 대해 알아보자(동맥경화예방, 코발라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 식단관리 - 당뇨에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 (1) (0) | 2023.11.23 |
---|---|
피로회복에 필요한 비타민B12에 대해 알아보자(동맥경화예방, 코발라민) (0) | 2023.11.22 |
당뇨 수치 및 당뇨 전단계 관리방법 (0) | 2023.11.20 |
나솔사계 10기 영자 양악수술, 수술 후 붓기 빼는 약! (0) | 2023.11.19 |
일본 대마 젤리 사건! 발생원인과 HHCH 성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