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항생제 1탄, 베타락탐계(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계, 카르바페넴계, 모노박탐계. Feat, 마크롤라이드)

by Bbonnn__ 2023. 2. 18.
반응형

항생제는 오늘날 많은 세균들로부터 우리를 보호해주고 있습니다. 오늘은 항생제 중 베타락탐 고리를 가진 계열인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베타락탐계열이란 무엇일까?

간단히 말해 베타-락탐 핵 (beta-lactam ring)을 분자 구조 내에 포함하고 있는 항생제들을 가리켜 베타락탐계열 항생제라고 이야기합니다. 베타 락탐계열 항생제의 경우 주로 세균 분류 중 그람양성균 (+)에게 효과가 있습니다.

β-lactam-고리
β-lactam-고리

 

위 사진이 베타락탐 핵을 말합니다. 아래 그림은 베타 락탐계열 약물인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 구조입니다. 구조를 보시면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바로 베타락탐 핵입니다. 이렇게 베타락탐 핵을 포함하고 있는 구조를 가리켜 베타락탐계열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위-페니실린,아래-세팔로스포린
위-페니실린,아래-세팔로스포린

 

그럼 베타 락탐 계열에는 어떤 약물들이 있는지 하나하나 알아가 봅시다.

1. 페니실린계열

페니실린 계열은 그람양성 박테리아 (예, 연쇄상 구균 감염)와 일부 그람 음성 박테리아(예, 수막구균 감염)로 인한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합니다.

(1) 종류

디클록사실린, 옥사 실린,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카르베니 실린, 피페라실린, 나프실린, 페니실린 G, 페니실린 V, 카르베니 실린, 피페라실린(이 둘은 그람 양성균은 물론 녹농균을 포함한 그람 음성균에게도 항균효과가 있다.)

 

(2) 기전

박테리아의 세포벽 형성 시 장애물로 끼어들어가 세포벽 형성을 차단하여 박테리아를 사멸에 이르게 함.

(3) 용도

연쇄상구균감염, 매독 및 라임병 등 다양한 감염 예방 및 치료에 응용됨.

(4) 부작용

메스꺼움, 구토 및 설사, 심각한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동반한 알레르기,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SJS), 뇌 및 신장 손상(드문 경우)

(5) 기타

베타락탐 내성균의 경우 클라불라네이트 또는 설박탐과 같은 베타락타메이스 효소를 억제할 수 있는 약물과 함께 페니실린을 투여합니다.

(6) 베타-락타메이스 항생제 내성 기전

베타락탐계 항생제의 경우 베타락탐 핵 구조의 파괴로 인해 항생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됩니다. 이렇게 베타락탐 핵을 파괴시키는 효소를 베타락타메이스(beta lactamase)라고 하며 이를 생성해 내는 균주를 가리켜 베타락탐계열 내성균(페니실린 내성균)이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항생제의 기능을 상실하게 하는 베타락타메이스가 작용을 하지 못하도록 베타락타메이스 저해제 (beta lactamase inhibitor)를 발견하여 약으로 개발하였습니다.

(7) 베타-락타메이스 저해제

베타락타메이스 저해제는 그 자체만으론 항균 효과는 극도로 미미합니다. 하지만 베타락탐 고리를 가지고 있어 베타락타메이스에 항생제 대신 결합되어 항생제의 기능이 저해되지 않도록 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베타락탐계열 항생제와 조합한 성분이 사용됩니다. 종류로는 클라블라산, 타조박 탐, 설박탐이 있으며 베타락탐-락타메이즈 저해제 병용약으로는 암피실린과 설박탐, 아목시실린과 블라블라산, 피페라실린과 타조박 탐 등이 있습니다.

(8) 기타 정보

: (경구투여) 아목시실린, 페니실린, (주사) 피페라실린, 다른 약물들(암피실린)은 두 방법 중 하나로 투여할 수 있다.

 

: 음식은 아목시실린 흡수를 방해하지 않으나, 페니실린 G는 식전 1시간 또는 식후 2시간 후에 복용해야 합니다. 아목시실린은 흡수가 보다 양호하고 위장 부작용이 적으며 덜 빈번하게 투여할 수 있기 때문에 암피실린(경구복용)보다 자주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임신, 모유수유) 페니실린은 임신 기간 동안 사용하기에 가장 안전한 항생제입니다. 그러나 치료혜택이 위험을 능가하는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합니다. 모유수유동안 페니실린 사용은 일반적으로 가능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