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시간에는 항생제 베타락탐계열 중 페니실린 계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시간에는 항생제 2탄으로 베타락탐계열 중 카르바페넴계, 세팔로스포린계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카르바페넴계열
카르바페넴계는 폭넓은 효능 (그람 양성, 음성 모두)을 지닌 항생제입니다. 즉, 이들은 다른 많은 항생제들에 내성을 보이는 박테리아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박테리아들에게 효과적인 항생제입니다. (베타락탐계열 항생제 중 스펙트럼이 가장 넓습니다.)
1. 종류
메로페넴, 이미페넴(항상 실라스타틴과 함께 투여), 에르타페넴, 도리페넴, 파로페넴
2. 작용기전
박테리아의 세포벽 형성을 차단하여 박테리아를 사멸시킵니다.
3. 효능 효과
괴저, 패혈증, 폐렴, 복부 및 요로감염, 다른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내성균에 의한 감염, 슈도모나스 감염
※ 슈도모나스 감염이란 (그람 음성 박테리아, 특히 녹농균)
이 박테리아는 혈액, 피부, 뼈, 눈, 요로, 심장 판막 및 폐를 비롯해 상처(수술 중 발생한 화상, 부상 또는 상처 등) 도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방광 또는 정맥에 삽입된 카테터, 호흡관 및 기계적 환기 등의 의료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슈도모나스 녹농균에 감염될 위험이 더욱 높습니다. 이러한 감염은 흔히 병원에서 발생합니다. 병원에서 박테리아는 싱크대, 소독제, 그리고 방광 카테터로부터 소변을 수집하는 데 사용되는 용기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부작용
흔하지 않은 발작(이미페넴 투여 시 위험이 약간 높다), 혼돈, 드물게 페니실린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납니다.
5. 기타
카르바페넴계열 약물은 주사로 투여해야 합니다. 이는 종종 일부 감염을 치료하는데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열과 함께 사용되며, 이유는 이들의 병용 사용이 두 항생제의 효과를 강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미페넴은 항상 실라스타틴과 함께 투여되며 이는 신장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하여 이미페넴의 효과를 연장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구조적으로 페니실린과 유사하기 때문에 페니실린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 또한 카르바페넴계열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입니다.
(임신, 모유수유) 임산부 시험이 없음. 카르바페넴계는 모유로 분비되며 아기 소화관의 정상적 박테리아 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세팔로스포린계
1세대 세팔로스포린계열
- 종류 : 세파드록실, 세파졸린, 세팔렉신 : 중간정도의 스펙트럼
- 용도 : 주로 피부와 연조직 감염치료 및 예방을 위해 외과 절차 전 투여
- 부작용 : 배탈과 설사, 오심, 알레르기(페니실린 알레르기 있는 사람은 증상이 더 심함)
2세대 세팔로스포린계열
- 종류 : 세파클로르, 세프프로질, 세푸록심
- 중간의 스펙트럼과 그람 음섣ㅇ균인 헤모필루스를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이 부여되어 있다.
2세대 세파마이신계열
- 종류 : 세포테탄, 세폭시틴
- 용도 : 일부 기도감염, 세폭시틴의 경우 복부감염
- 부작용 : 배탈과 설사, 오심, 알레르기
3세대 세파계
- 종류 : 세프디니르, 세프디토렌, 세픽심, 세포탁심, 세프포독신, 세프티부텐, 세프트리악손, 세프타지딤(녹농균 제거 가능)
- 용도 :
(경구투여시) 피부 및 연조직 감염 등 중증도 이하의 감염이 있는 환자에 대한 넓은 범위의 많은 박테리아
(주사투여 시) 심각한 감염, 예를 들어 뇌수막염 또는 병원 획득 감염
- 부작용 : 배탈과 설사, 오심, 알레르기
4세대 세파계
- 종류 : 세페핌, 세프피롬
- 용도 : 베타락타메이스에 대한 저항력이 부여되었다. 그람 양성균에게 강력한 항균효과를 보이며 넓은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다. 심각한 감염(슈도모나스감염), 특히 면역체계가 약화되고 다른 상생제에 내성이 있는 감수성 박테리아로 인한 감염이 있는 사람들에게 이용
- 부작용 : 배탈과 오심, 알레르기 반응
5세대 세파계
- 종류 : 세프타롤린
- 용도 :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 (MRSA)과 엔테로코쿠스 파이칼리스와 같이 감수성 박테리아로 인한 감염
- 부작용 : 배탈과 설사, 오심, 알레르기반응
- 기타 : (임신, 모유수유) 세팔로스포린계는 임신기간 동안 사용하기에 가장 안전한 항생제 중 하나이지만, 각 약물마다 약간 다르고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모유수유 동안 세팔로스포린계 사용은 권장되지 않으며, 이는 이 약물이 아이의 소화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거의 모든 항생제들이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위막성 대장염) 유발성 설사와 결장 염증(결장염)을 야기할 수 있으나, 클린다마이신,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계, 플루오로퀴놀론계가 가장 일반적인 원인입니다.
모노박탐계 (아즈트레오남)
아즈트레오남은 모노박탐계열의 유일한 항생제입니다. 일부 감염을 치료하는 데에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열과 함께 사용되는데, 둘의 병용사용이 항생제 효과를 상승시키기 때문입니다.
1. 기전
박테리아의 세포벽 형성을 차단하여 사멸시킴.
2. 용도
그람음성 박테리아로 인한 감염 치료 및 에방
3. 부작용
주사부위 불편과 부종, 설사, 메스꺼움, 구토 또는 이의 조합, 발진
4. 기타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계 및 카르바페넴계와 같은 다른 베타 락탐 항생제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 사용 가능하며 주사로만 투여가능.
임산부, 모유수유 관련 안전성은 입증되지 않음.
마크롤라이드 (에리스로마이신)
페니실린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 감염을 치료하는 데에 자주 사용되는 항생제 계열
1. 종류
아지스로마이신, 클래리스로마이신, 에리스로마이신
2. 기전
박테리아의 성장과 증식에 필요한 단백질 생성을 차단함으로써 효력을 발휘합니다.
3. 용도
연쇄상구균 감염, 매독, 기도감염, 마이코플라스마 감염, 라임병, 아지스로마이신의 경우 생식기관과 요로의 클라미디아 감염
4. 부작용
복통, 메스꺼움, 구토 및 설사(특히 고용량에서), 황달, 이상심장박동(부정맥)
5. 주의사항
마크로라이드계열 항생제는 많은 다른 약물들과 상호작용을 하여 다른 약물들의 효과를 증가시킵니다. 일부 약물과 함께 투여할 경우 마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는 QT연장을 통해 환자들에게 심장사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산화를 위한 고용량의 비타민C, 신장 결석이 걱정되나요? - 2탄 비타민B6, 마그네슘 (0) | 2023.03.14 |
---|---|
항산화를 위한 고용량의 비타민C, 신장결석이 걱정되나요? (0) | 2023.03.13 |
피로회복을 위한 비타민 B군 - 2탄 (0) | 2023.03.13 |
피로회복을 위한 비타민B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13 |
항생제 1탄, 베타락탐계(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계, 카르바페넴계, 모노박탐계. Feat, 마크롤라이드) (1) | 2023.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