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로 소개해드릴 것은 바로 엽산 (folic acid)입니다. 엽산은 임산부에게 특히나 중요하며 임상적으로도 효능이 입증되어 있는 성분이라는 것을 다들 아실 것입니다. 그럼 실제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엽산의 역할
태아는 난자와 정자가 만나는 수정 후에 반복적인 세포분열을 겪으면서 우리 몸의 기관들 (뇌, 신장, 심장, 간 등)을 하나씩 하나씩 만들어 나갑니다.
그중에 신경계에 해당하는 부위(뇌, 척수, 신경)는 수정 후 태아의 발생 초기에 형성되는 기관들입니다.

위의 사진이 바로 신경계 형성의 발판이라고 할 수 있는 신경관이 닫히는 단계입니다. 가운데 등 부분 부터해서 위, 아래로 점차 지퍼가 잠가지듯이 닫히는 모습이 보일 겁니다. 수정 후, 22일에서 28일 사이에 신경관의 양 끝이 닫히고 중추신경계(뇌, 척수)가 형성되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에 신경관은 뇌가 발생하는 머리 쪽에서 먼저 닫히고 점차 아래로 진행하여 척수의 꼬리 부분이 닫히게 됩니다.
만약 이 시기에 제대로 신경관이 닫히지 않는다면?

아이는 위 사진과 같이 신경관이 열려있는 상태로 태어나게 됩니다. 만약 뇌쪽의 신경관이 제대로 닫히지 않으면 무뇌증이 발생하고, 척수 꼬리 부분이 닫히지 않으면 마비, 척추이분증, 변실금, 요실금, 이차 감염에 의한 정신지체까지 증상이 매우 다양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섭취해야 하는 것이 바로 엽산(folic acid)입니다. 임신 전 엽산을 보충하면 태아의 신경관결손 발생이 50% 이상 감소하는 것이 많은 무작위 대조 연구를 통해 입증되어 왔습니다.
그렇다면 엽산은 어떻게 복용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엽산의 복용
엽산과 신경관결손에 대한 55개의 논문을 분석한 연구에서 임신 전과 임신 초기의 엽산영양상태가 중요하므로 모든 가임여성에서 0.4mg의 엽산을 섭취할 것을 권장하였으며, CDC(미국질병통제 예방센터) 또한 이 권고와 같은 입장을 밝혔습니다.
따라서 임신 3개월 전부터 임신 후 3개월 까지 하루 0.4mg을 복용하시는 걸 추천해 드립니다.
(단, 이전 신경관 결손 임신 기왕력, 당뇨 환자의 경우 4mg 고용량 엽산을 복용해야 합니다.)
3. 엽산 복용시 주의사항
비타민 b12 결핍에 의한 악성 빈혈 환자의 경우 엽산 복용을 피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엽산(비타민b9)과 비타민b12는 적혈구 형성에 도움을 주는 물질인데, 비타민 b12가 부족한 빈혈환자의 경우 엽산 복용 시 결핍증상을 완화시켜 비타민 결핍을 알아채지 못하도록 감출 수가 있습니다.
증상이 안 나타나니 좋지 않으냐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이는 증상을 가릴 뿐 치료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결과적으로는 비타민b12 결핍이 치료되지 않고 점차적으로 결핍에 의한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비타민 b12결핍에 의한 악성 빈혈 환자의 경우에는 엽산 복용은 피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 기능 저하증 약 주의사항, 씬지로이드와 칼슘제 (0) | 2023.03.15 |
---|---|
신장결석 환자 칼슘제 복용해도 괜찮은걸까? (0) | 2023.03.15 |
임신준비 영양제에 대해 알아보자 - 1탄 (아연) (1) | 2023.03.14 |
항산화를 위한 고용량의 비타민C, 신장 결석이 걱정되나요? - 2탄 비타민B6, 마그네슘 (0) | 2023.03.14 |
항산화를 위한 고용량의 비타민C, 신장결석이 걱정되나요? (0) | 202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