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신장결석 환자 칼슘제 복용해도 괜찮은걸까?

by Bbonnn__ 2023. 3. 15.
반응형

 오늘은 신장결석 제2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비타민C를 위주로 신장결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칼슘이 과연 신장 결석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복용해도 괜찮은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칼슘, 신장결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지난 시간에 비타민C와 신장결석의 형태에 대해 알아보면서 신장 결석은 칼슘 옥살레이트라는 물질로 이루어진다고 했습니다. 이때에 칼슘 옥살레이트는 칼슘과 옥살레이트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물질입니다. 그렇다면 칼슘제는 섭취하면 안 되는 것일까?

 

1993년 curhan 등의 연구 (nurse's health study 1)에서 저칼슘 식이를 시행한 경우 고칼슘 식이에 비해 결석의 발생률이 51% 높다는 발표 이후 여러 유사한 결과가 보고 되었고, 이제는 더 이상 칼슘의 섭취를 제한하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칼슘 섭취량이 적은데도 발생률이 51%나 높다고?

 

그렇습니다. 오히려 저칼슘 식이를 하게 되면 결석의 발생률이 더 높아지는데 이러한 역설적인 결과가 나온 이유는 사실 칼슘보다는 옥살레이트에 조금 비중이 더 실려있습니다.

 

옥살레이트의 흡수는 소화기계를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칼슘을 식이와 함께 섭취할 경우 음식에 포함된 옥살레이트와 칼슘이 만나 칼슘-옥살레이트 복합체가 형성되어 장에서의 흡수가 저해됩니다. 흡수가 저해된다는 것은 혈중으로 들어오는 칼슘과 옥살레이트의 양이 줄어든다는 의미이며 이를 통해 혈중 옥살레이트와 칼슘의 농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 결과 신장으로 가는 옥살레이트의 양이 제한되어 결석의 형성이 줄어들기 때문에 칼슘이 포함된 식사를 같이 할 경우 결석 발생률이 낮은 것입니다.

 

반대로 칼슘이 적게 포함된 식사를 할 경우 옥살레이트의 흡수가 많아지고 소변 내에 옥살레이트의 농도가 높아져서 신장 결석이 유발되는 것입니다.

 

실제로 dom-rongkitchaiporn 등의 칼슘 섭취와 식이와의 연구에서 칼슘을 식이 중 섭취한 군과 취침 전 1회 복용한 군 간에 소변 중 칼슘은 비슷하게 증가했지만 소변 중 옥살레이트는 식사와 함께 칼슘보충제를 투약한 군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결석의 위험이 있는 환자의 경우 칼슘 보충은 식이 중에 이루어져야 칼슘 옥살레이트 결석의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칼슘 보충제를 드시는 이유가 저칼슘혈증을 잡기 위하신 분들이라면 오히려 식사시간과 시간 간격을 2시간 정도 두고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결석 위험군 대상으로 어떤 칼슘제가 좋을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신장 결석 위험군에게는 calcium citrate (구연산 칼슘) 성분의 칼슘 보충제를 추천해 드립니다. (칼슘보충제는 칼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물질들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또한 신장 결석은 결석은 결석의 종류에 따라 소변의 산성도 즉, 소변의 pH에 영향을 받습니다.

&

소변산성도-결석종류
소변산성도-결석종류

위 사진은 결석의 종류에 따라 산성 환경에서 형성되는 결석, 알칼리(염기성) 환경에서 형성되는 결석을 표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Acidic pH cristal이라는​ 왼쪽 항목은 산성환경에서 형성되는 것 Alkaline pH cristal이라는 오른쪽 항목 든 알칼리 환경에서 형성되는 결석들입니다. 저희가 이야기하고 있는 칼슘 옥살레이트의 경우 acidic pH에 해당되는 산성환경에서 형성되는 물질입니다.

 

그런데 추천드린 구연산 칼슘(calcium citrate)의 구성성분인 구연산 (citrate)은 소변을 알칼리화시켜 주는 물질입니다. 아래 그림은 구연산이 세뇨관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보여줍니다.

구연산의-세뇨관-내-이동
구연산의-세뇨관-내-이동

사진 속 cit 가 바로 citrate, 구연산입니다. 구연산은 여과를 통해 신장의 세뇨관으로 들어가며 세뇨관을 지날 때 재흡수가 됩니다. 가운데 빨간색 상자를 주의 깊게 보시면 H+가 있습니다. 이것은 산을 의미하는데, 이것이 많을수록 산성을 띄는 것입니다. 그런데 세뇨관 내에서 cit3- 이 H+와 결합을 하면서 H-cit2-를 형성하고 이 상태 그대로 세포로 재흡수됩니다. 쉽게 말하면 cit(구연산)이 세뇨관 내부의 H+를 끌어당겨서 세뇨관 외부로 가져가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세뇨관 내부에서 H+가 줄어들게 되어 알칼리성을 띠게 되는 것입니다.

;

세뇨관을 통과한 물질들은 방광에 모여서 소변으로 배출이 되는데, 구연산에 의해 세뇨관 내부가 알칼리성을 띠게 되며 방과에 모인 소변 또한 알칼리 성을 띄게 됩니다. 소변이 알칼리 성을 띄게 되면 산성환경에서 잘 형성되는 칼슘옥살레이트의 형성이 줄어들겠죠? 그렇기 때문에 구연산이 붙어있는 구연산 칼슘(calcium citrate) 성분의 칼슘제를 추천드리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