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2

호모시스테인, 심혈관 건강을 위협한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호모시스테인이란 무엇인가? 호모시스테인은 인체에서 발견되는 아미노산 중 하나로, 메티오닌의 대사 과정에서 생성됩니다. 정상적인 대사 과정을 통해 보통은 정상 수치를 유지하지만 특정 요인에 의해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혈관손상, 심혈관 질환, 혈전증, 동맥경화 등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관리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체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 (1) 혈관손상 위험증가 호모시스테인은 산화작용을 일으키며 산소 반응의 부산물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킵니다.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활성산소처럼 혈관 세포 손상과 염증을 유발합니다. (2) 혈전 위험 증가 두 번째로 혈관 내피세포 기능들을 저하시켜 혈액의 응집이 쉽게 일어나게 되고, 혈소판 접착률을 증사시 켜 혈전 형성의 위험을 높입니다. (3.. 2023. 11. 21.
당뇨 수치 및 당뇨 전단계 관리방법 내가 당뇨인지 아니면 정상인지 궁금하신 적이 있을 겁니다. 이번 글에서 첫 번째로는 당뇨에 관련된 수치들과 이 수치들을 통해 당뇨의 단계를 결정지어보겠습니다. 그 후 당뇨 전단계 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1. 당뇨 수치 당뇨병은 아래의 다양한 수치와 단계에 따라 분류됩니다. (1) 공복 혈당 (Fasting Blood Glucose, FBG) 공복혈당은 최소 8시간 동안 아무것도 섭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혈당을 의미합니다. 주로 밤에 잠을 자고 아침에 일어나서 식사를 하기 전에 측정하는 혈당을 말합니다. 공복혈당 수치를 측정했을 때 다음의 기준에 따라 당뇨의 단계를 나눕니다. - 70 ~ 99 mg/dL : 정상 - 100 ~ 125mg/dL : 당뇨병 전단계 (공복 혈당장애, IFG) .. 2023. 11. 20.
나솔사계 10기 영자 양악수술, 수술 후 붓기 빼는 약! 최근 나솔사계에서 10기 영자님께서 받으신 양악수술에 대해 요즘은 모르시는 분들이 없으실 텐데요. 이렇게 수술을 하게 되면 상처부위가 부어 미관상 신경이 쓰이게 됩니다. 이렇게 부기가 가득할 때 부기 빼는 약은 어떤 게 있는지 이번 글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술 후 붓는 이유 수술을 하게 되면 피부손상이 필연적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이렇게 피부 조직과 표면이 손상을 받게 되면 우리 몸은 염증반응을 통해 손상된 부위를 보호하고 재생시키려고 노력합니다.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혈관세포 간에 틈이 느슨해지면서 체액과 면역세포 및 지혈에 필요한 인자들이 혈관 밖으로 빠져나오는데 이 과정을 통해서 피부가 붓게 되는 것입니다. 2. 부기 빼는 약 (1) 트록세루틴 (Troxerutin) 성분 약 - 뉴베.. 2023. 11. 19.
일본 대마 젤리 사건! 발생원인과 HHCH 성분에 대해 알아보자. 일본 대마 젤리 사건, 지난 16일 일본의 신문 보도에 따르면 도쿄의 한 주택가에서 20대 남녀가 젤리를 먹고 이상증세를 느끼고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다고 합니다. 이뿐만 아니라 도쿄에서 열린 축제 현장에서도 40대 남성이 무료로 나눠준 젤리를 먹고 병원으로 이송된 사례가 있었습니다. 이 사건들의 공통점은 젤리에 들어있는 성분입니다. 바로 HHCH라고 하는 대마초, 즉 마리화나의 주요 활성 성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일본 대마젤리에 들어있는 HHCH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성분 HHCH란 무엇인가 HHCH는 Hexa hydrocannabihexol이라는 성분의 줄임말로 반합성 칸나비노이드 유도체입니다. 이 물질은 대마초에 들어있는 THC라는 대표적인 향정신성 성분과 구조와 효능이 비슷하게 만들.. 2023. 11. 19.
대상포진 백신 접종 방법 저번시간에는 대상포진이란 무엇이며 왜 위험한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신경세포 주위에 머물러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올라오는 대상포진은 예방접종을 통해서 예방할 수 있습니다. 발생했을 때 건강상에 큰 위험이 될 수 있는 대상포진에 대해서 예방접종을 맞는 방법에 대해서 아직도 잘 모르시거나 예방접종은 있는지는 알지만 어떻게 맞아야 하는지 시작도 못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이번시간에는 A~Z까지 대상포진 백신 접종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상포진 백신이란 무엇인가? 대상포진 예방 접종은 대상포진 바이러스, VZV virus에 대한 백신을 주사로 맞는 것입니다. 백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원인균이 살아있지만 약화시킨 생백신과 원인균이 죽어서 항원만 분리한 사백신이 있습니다. 백신을 맞게 되면 실제.. 2023. 11. 17.
대상포진(VZV virus) 무엇이고 왜 생기는 것일까? 요즘 들어서 대상포진을 앓고 계시는 환자분들이 약국에 자주 오신다. 진통제, 항바이러스제, 염증약 등등이 담긴 처방전을 들고 오시며 통증을 호소하시거나 '내가 대상포진을 앓게 되다니'라는 놀람을 표출하신다. 일반적으로 피곤할 때 생긴다고 알려져 있는 이 대상포진이 과연 무엇이고 어떤 질병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대상포진이란?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인 VZV (varicella-zoster virus) 바이러스가 어렸을 때에 수두를 일으킨 후 신경 주변에 남아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신경을 타고 나와서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고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몸통이나 엉덩이 부위에 생기지만 얼굴이나 팔, 다리 등 신경이 있는 부위라면 어디든 발생이 가능합니다.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은.. 2023. 11. 15.
반응형